제약/초급

Filter integrity test - Bubble point test

마플2021 2022. 2. 11. 11:01
반응형
Bubble point test

 

 

표면 장력에 의해 필터 pore에 유지되고 있는 액체를 pore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서는 압력이 필요하게 되는데요.

이때 최소한의 압력을 bubble point라고 표현합니다.

 

만약 파손된 필터라면 압력을 가할 때 기준보다 낮은 값의 결과를 얻게 되겠지요.

 

그림에서처럼 필터를 액체로 채워준 후(wetting이라는 과정) 표면 장력이 형성된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2번째 그림에서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압을 하고 3번째 그림에서 처럼 특정 위치에서 필터 멤브레인의 pore의 liquid 가 제거되고 멤브레인을 통해 air flow가 형성되게 됩니다. 

 

 

검색을 해 보면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가 꽤 있습니다.

테스트 셋업을 하고 필터 멤브레인이 액으로 채우고 나면 필터 멤브레인의 액체가 표면장력을 형성하게 됩니다. 

차압을 가하여 멤브레인 사이의 액체를 밀어낼 수 있도록 진행하게 되는데요. 가장 큰 pore size를 통과할 때 필요한 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결과를 얻게 됩니다.

 

시험 결과로 나오는 압력이 높을수록 filter integrity 가 보장된다는 의미로 해석이 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