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inless Steel의 종류 및 조성 정보
Stainless steel을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이 됩니다.
제약 분야에서 약이 직접 접촉하는 곳에는 SUS 316을, 직접 contact이 아닌 곳은 304를 많이 사용합니다. 당연히 그만큼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304에 비해 316의 경우 조성표에서 보면 몰리브데늄이 2~3% 정도 추가되어 있다는 점이 큰 차이입니다. 아래 표에서 각 성분의 역할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Mo의 경우 부식에 강한 성질이 있습니다.
316의 조성에서 Carbon 함유량을 줄여서 316L이라고 부르는데요. 용접후 부식 저항성이 강하다는 장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쉽게 배우는 철강용어]스테인리스
철강업종을 영위하는 사람들에게는 상식적이며 이미 익숙한 용어들이 일반인들은 의외로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EBN은 매주 생활 속에서 접하지만 헷갈리는 철강용어와 개념들을 누구나 알기
www.ebn.co.kr
오늘날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은 합금 성분에 따라 철-크롬계의 페라이트(Ferrite)스테인리스강과 철-니켈-크롬계의 오스테나이트(Austenite)스테인리스강으로 나뉜다.
페라이트스테인리스강은 상온에서의 철과 크롬의 양쪽 산화막을 표면에 만들어 내부를 보호하도록 한 것으로 13%의 크롬을 첨가한 크롬 스테인리스 스틸이 가장 유명하다.
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강은 900~1400℃의 고온에서 안정된 철 구조에 다량의 니켈, 크롬을 첨가함으로써 상온까지 안정되게 한 것으로 18-8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18% 크롬, 8% 니켈 합금의 소재가 유명하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니켈이 첨가돼 있어 자석에 붙지 않을 뿐 아니라 가공을 하면 아주 단단해져 부식에 가장 잘 견디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주방기구의 대표 소재로 쓰이고 있다.
'제약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에서 사용하는 Material type 정리 (0) | 2022.02.23 |
---|---|
[알약 이야기] 칭량(Weighing, Dispensing) 공정 (0) | 2021.10.16 |
[바이알#1] 바이알 알아보기 (0) | 2021.09.13 |